오늘(27일) 헌법재판소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(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)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보류가 위헌인지 여부를 판결한다.
이번 결정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등 향후 정국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.
헌법재판소의 결정, 어떤 영향을 미칠까?
헌재가 국회의 청구를 받아들일 경우, 최상목 대행은 마은혁 후보자를 반드시 임명해야 한다.
이렇게 되면 헌법재판소의 재판관 구성이 변경되면서, 지난 25일 변론이 종결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변론이 다시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.
반면, 청구가 기각되거나 각하될 경우 현재와 같은 8인 체제가 유지된다. 이는 탄핵심판뿐만 아니라 앞으로 헌재가 다룰 주요 사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쟁점은 ‘임명 보류의 정당성’
이번 사건의 핵심은 최상목 대행이 국회에서 선출한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다.
국회는 지난해 12월 마은혁 후보자를 포함한 3명의 재판관을 선출했으나, 최 대행은 "여야 합의가 없었다"는 이유로 마 후보자의 임명을 보류했다.
이에 대해 우원식 국회의장은 "국회의 헌법재판관 선출권을 침해한 것"이라며 지난 3일 헌재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했다.
최상목 대행 측은 우 의장이 국회 전체 의결 없이 단독으로 심판을 청구했기 때문에 절차상 하자가 있다는 입장이다.
헌재는 심판 청구 19일 만인 지난달 22일 첫 공개 변론을 진행한 데 이어, 최 대행 측의 요청을 받아들여 지난 10일 추가 변론까지 열었다.
선관위-감사원 권한쟁의도 함께 판결
한편, 헌재는 오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감사원 간의 권한쟁의심판 결과도 발표한다.
선관위는 감사원의 직무감찰이 선관위의 독립성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심판을 청구했다. 이번 결정은 선거 관리의 독립성과 관련된 중요한 기준이 될 전망이다.
향후 정국에 미칠 파장은?
헌재의 결정에 따라 향후 정치권의 움직임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. 만약 마은혁 후보자의 임명이 확정된다면,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된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다.
반대로 현 체제가 유지될 경우, 야당의 반발과 정치적 공방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.
오늘 발표될 헌재의 판결이 대한민국 정치 지형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.